스웨덴 노스볼트 파산… 유럽 배터리 산업의 위기와 글로벌 시장 영향
유럽 배터리 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평가받던 **노스볼트(Northvolt)**가 최근 스웨덴 법원에 파산을 신청하며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유럽연합(EU)의 ‘배터리 독립’ 전략의 핵심 축이었던 노스볼트의 몰락은 단순한 기업 파산을 넘어 유럽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전반에 걸쳐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중국 배터리 기업들과의 경쟁 심화와 유럽 내 투자 환경 악화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면서, 향후 유럽의 배터리 정책 방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 노스볼트의 파산 배경: 왜 실패했는가?
노스볼트는 2016년 테슬라 출신 피터 칼슨(Peter Carlsson)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유럽 내 배터리 자급자족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여러 가지 악재가 겹치면서 재정적 어려움이 심화되었다.
(1) 무리한 확장과 자본 비용 부담
노스볼트는 스웨덴 셸레프테오(Scellefteå)에 ‘노스볼트 Ett’라는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 데 이어, 독일, 캐나다, 미국에 추가적인 공장을 계획하며 급격한 확장을 추진했다.
그러나 자본 비용 증가와 금융 시장 환경 악화로 인해 지속적인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유럽 내 고금리 기조와 공급망 병목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예상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했다.
- 문제점: 초기 투자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었으며, 수익 창출까지의 기간이 길어 자금난을 초래.
- 결과: 2023년 말부터 현금 유동성 문제 심화 → 2024년 스웨덴 법원에 파산 신청.
(2) 배터리 생산 효율 문제
노스볼트의 주요 고객으로는 BMW, 폭스바겐(VW), 볼보(Volvo) 등이 있었으나, 예상만큼의 공급량을 맞추지 못했다.
셸레프테오 공장은 연간 16GWh의 생산능력을 목표로 했지만, 실제 생산량은 1GWh 이하로 추정된다. 이는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의 기술적 문제와 운영상의 비효율성 때문이었다.
- 문제점: 생산 수율이 낮아 수익 창출에 실패.
- 결과: 주요 고객사의 신뢰 저하 → 신규 투자 유치 실패.
2. 중국 배터리 기업과의 경쟁 압박
노스볼트의 파산 배경에는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시장 장악력 강화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배터리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생산 비용이 높은 유럽 배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어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1) CATL과 BYD의 시장 지배력 확대
중국의 CATL(닝더스다이)과 BYD는 가격 경쟁력과 기술 우위를 앞세워 글로벌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CATL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저렴하게 공급하면서 유럽 자동차 기업들에게도 주요 공급자로 자리 잡았다.
배터리 제조사 2023년 시장 점유율 2024년 예상 점유율
CATL (중국) | 32% | 36% |
BYD (중국) | 15% | 18% |
LG에너지솔루션 (한국) | 23% | 21% |
파나소닉 (일본) | 15% | 13% |
노스볼트 (스웨덴) | 5% | 0% |
출처: SNE 리서치 (2024년 3월 기준)
- 문제점: 중국 기업의 공격적인 가격 전략으로 인해 노스볼트의 수익성 악화.
- 결과: 유럽 전기차 제조사들도 점차 중국산 배터리로 전환.
(2) 유럽의 보호무역 정책에도 불구하고 경쟁 밀려
EU는 유럽 배터리 산업 보호를 위해 2023년부터 '유럽 배터리 연합' 정책을 추진했지만, 중국산 배터리의 가격경쟁력을 넘어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유럽연합이 보조금과 규제 정책을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업들은 유럽 내 직접 생산 공장을 건설하면서 규제를 우회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 문제점: 유럽의 보호무역 장벽이 기대만큼 효과적이지 않음.
- 결과: 노스볼트와 같은 신생 유럽 기업들은 지속 불가능한 구조에 놓임.
3. 노스볼트 파산이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노스볼트의 파산은 단순한 기업 실패를 넘어, 유럽 배터리 산업의 미래와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판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 유럽 배터리 산업의 구조적 위기
- 유럽 배터리 기업들은 여전히 중국과 한국 기업들에 비해 경쟁력이 낮음.
- 노스볼트의 몰락으로 인해 유럽 자동차 기업들은 중국 및 한국산 배터리에 더욱 의존할 가능성이 커짐.
(2)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수도?
노스볼트의 파산으로 인해 유럽 전기차 제조사들이 새로운 배터리 공급선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과 같은 한국 기업들이 유럽 내 입지를 강화할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3) EU의 대응 방향
- 배터리 산업에 대한 추가 보조금 및 지원책 확대 가능성.
-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추가적인 규제 정책 발표 가능성.
- 유럽 내 기존 배터리 공장들의 구조조정 및 합병 가능성.
4. 결론: 유럽 배터리 산업의 재편과 향후 전망
노스볼트의 파산은 유럽 배터리 산업이 안고 있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사례이다.
단순한 기업의 실패가 아니라 유럽의 배터리 산업 전략 전반을 다시 고민해야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중국과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은 더욱 강화될 것.
- EU는 노스볼트의 파산을 계기로 배터리 산업 정책을 재검토해야 할 것.
-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은 새로운 배터리 공급망 확보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
앞으로 유럽 배터리 산업이 중국과 한국의 경쟁력을 따라잡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선택할 것인지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관련 기사 출처
유럽 최대 배터리社 노스볼트 결국 파산 신청
국제 > 기업 뉴스: 유럽 최대 배터리 업체인 스웨덴 노스볼트가 현지에서 파산 신청을 했다고 미 CNBC 방송이 1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
www.sedaily.com
유럽의 ‘총아’ 노스볼트 파산…배터리는 ‘한-중 전쟁’ 고착화
유럽 최대 배터리 셀 제조사인 스웨덴의 노스볼트가 파산하며 그 파장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후퇴)을 견디지 못한 신생 배터리 업체들이 퇴출되는 구조조정의 신호
www.hani.co.kr
스웨덴 노스볼트, 파산 신청…EU 배터리산업 육성 타격 | 연합뉴스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스웨덴 노스볼트가 현지에서 파산 신청을 했다고 12일(현지시간) 폴리티코 ...
www.yna.co.kr
'산업 이모 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세 (5) | 2025.03.14 |
---|---|
메모리 반도체와 레거시 반도체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 (15) | 2025.03.14 |
2차전지 기술, 앞으로 발전 방향 (8) | 2025.03.13 |
유리기판 관련기업은 어디? (2) | 2025.03.13 |
삼성전기, 유리기판 파일럿 진입 (21) | 2025.03.13 |